Author : 글쓴이입니다 / Date : 2015. 3. 3. 15:12 / Category : 부동산 배우기
내 집 마련의 첫 걸음은 내가 사고자 하는 집의 시세가 얼마인지 정확히 아는 것에서 시작이 됩니다. 그래야 시세보다 저렴한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
어떻게 하면 시세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시세 확인 시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닥터아파트를 포함해서 인터넷을 통해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는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 하한가에서 상한가 개념으로 시세를 제공합니다.
보통 하한가는 1층이나 향이 좋지 않은 곳의 시세이므로 상한가를 기준으로 보는 것이 낫습니다. 물론 호황기에는 하루가 다르게 시세가 급등하므로 "상한가+알파"로 보는 것이 좋으며 불황기일 경우에는 "하한가-알파"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현재 국토해양부 사이트(http://www.mltm.go.kr)에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외에도 거래 건수와 거래된 아파트의 층까지 확인할 수 있어서 시세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실거래가가 모두 공개되는 것은 아니며 층별이나 상태별(구조나 인테리어 등)로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업다운 계약서 작성 시 실제 매매가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를 해야 합니다.
실거래가 공개 시점과 현재 시세의 시간 차이를 고려하는 것도 잊으면 안됩니다.
마지막에는 중개업소에 나온 매물가격을 중심으로 시세를 직접 문의해봅니다. 매수자인 경우 능청스럽게 매도자인 척 물어보는 것도 정확한 시세를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정보업체의 시세, 실거래 등과의 가격이 다를 경우 그 이유를 꼼꼼하고 자세하게 물어보는 것도 필요하답니다.
인터넷이 없던 시절에는 집값을 알아보는 방법은 단 하나, 집을 사려는 주변의 중개업소에 들러서 일일이 물어보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회사가 많아지면서 직접 가보지 않더라도 인터넷을 통해서 대략적인 집값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알아본 시세를 맹신해서는 안 됩니다. 관심 있는 집의 대략적인 가격을 먼저 파악하고 중개업소에 물어봐서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대략적인 가격만 알고 가도 중개업소에 크게 휘둘리지 않을 수 있죠.
2015/02/13 - [부동산정보] - 부동산 재테크, 꼭 살펴보아야 할 3가지
2015/02/13 - [부동산정보] - 주택청약종합저축 부동산 재테크의 첫 걸음
2015/03/03 - [부동산정보] - 부동산투자, 정보수집이 첫 걸음
tip - 이왕 중개업소에 들리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한 군데만 가보지 말고 두세 곳을 더 둘러보길 권해드립니다. 중개업소마다 보유 매물이나 가격이 서로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해당 매물에 대한 평가나 향후 개발정보, 투자가치에 대한 소중한 정보들을 다양한 채널을 통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2015년 3월부터 달라진 주택청약제도 무엇이 있을까? (0) | 2015.06.05 |
---|---|
집을 사고 파는 방법 (0) | 2015.03.04 |
부동산투자, 정보수집이 첫 걸음 (0) | 2015.03.03 |
기점의 종류 4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5.02.27 |
측량기점이란? - 기준점 (0) | 2015.02.25 |